본문 바로가기

Java11

#6 자바 접근 제한자 종류와 차이점 접근 제한자(Access Modifier) 란? 접근 제한자(Access Modifier)는 말 그대로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여기서 말하는 접근이란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멤버의 접근을 말합니다 접근 제한자 종류 Public 접근 제한자: 단어 뜻 그대로 외부 클래스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private: 접근제한자:단어 뜻 그대로 개인적인 것으로 외부에서 사용될 수 없도록 합니다. protected 접근제한자:같은 패키지 또는 자식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default 접근 제한:위 세 가지 접근 제한자가 적용되지 않으면 가지는 접근 제한으로 같은 패키지에 소속된 클래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 2022. 4. 15.
#5 객체지향과 클래스(Class) 객체지향 프로그래밍(Object Oriented Programming)이란? 문제를 여러 개의객체 단위로 나눠 작업하는 방식을 뜻합니다. 이 방식은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방식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대표적으로는 Java, c#등이 있습니다.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및 장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가장 큰 특징은 클래스를 이용해 연관 있는 처리 부분과 데이터 부분을 하나로 묶어 객체를 생성해 사용한다는 점입니다. 장점: 코드 재사용이 용이하다 유지보수가 쉽다 대형 프로젝트에 적합하다. 클래스란? 자바에서 클래스(Class)는 객체를 정의하는 틀 또는 설계도와 같은 의미로 사 용합 됩니다. 자바에서는 이러한 설계도(클래스)를 가지고, 여러 객체를 생성하여 사용하게 됩니다... 2022. 4. 15.
#4 자바 배열(ArrayList) 배열이란? 배열(Array)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집합으로 다루는 것이라 볼 수 있다. 배열을 선언하기 쉬해선 변수타입[] 변수명 = new 변수타입[배열의 크기]으로 사용합니다. Ex))int[] Example = new int[10]; 배열의 특징 연속된 자료구조. 배열에 저장되는 값은 모두 같은 데이터 유형. 배열은 행 우선으로 데이터가 기억장소에 할당. 배열의 값을 요소(Element)라 하고 값이 저장된 위치를 인덱스(index)라고합니다. 배열의 인덱스를 0으로 시작합니다. 다차원 배열이란? 2차원 이상의 배열을 뜻 합니다. 지도,게임,평면이나 공간을 구현할 때 사용됩니다. ArrayList 객체 배열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자바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배열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.. 2022. 4. 14.
#3 반복문 반복문이란? 조건에 따라 실행문을 반복실행합니다. 반복문에는 for,while,do while문으로 3가지로 나뉩니다. for문의 형식은 for (초기식;조건식;증감식;){ 실행문; }입니다 *초기식,조건식,증감식 모두 생략 가능(무한반복) 1.초기식이란 반복문 식에 맨처음으로 나오는 식으로 반복할 변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식을 말합니다. 2.조건식이란 조건을 걸어 조건만큼 반복할 수 있도록하는 식입니다.(감소식도 있습니다.) 3.증감식이란 조건식 i < 10의 경우에만 해당될 때 실행되고, i의 값이 넘어가면 for문이 종료된다. i에 +나 -를 해주는 역할을 하는게 증감식입니다. ++ 이 1씩 더해짐 -- 1씩 빼짐 While문 형식 while (조건){ 실행할 문장 } while문의 조건이 Tr.. 2022. 1. 30.
#2 조건문 조건문 -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명령어를 의미합니다 . 자바 조건문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. 1.IF 2.Switch IF if는 조건에 참일때만 출력되고 else는 if조건의 거짓일때 출력됩니다. 이 예제에서 100이 아닌 모든 숫자를 넣으면 else가 실행됩니다. else if else if는 조건을 여러번 걸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문자열 비교 문자열 비교는 .equals를 사용해 비교해야 합니다. 정수형에 .equals를 사용하게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. Swicth Switch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읽고 출력합니다. Switch문도 else if처럼 조건을 여러번 걸 수 있습니다. 2022. 1. 24.